- 가압력(Pressing force) : 250 ton 이상
- 방식(Press contro)l : CNC 유압서보 방식
- 상램 행정거리(Upper ram travel) : 350 mm 이상
- 다이 행정거리 및 최대 충진높이(die stroke and Max. fill height)
: 150 mm 이상
- 코어로드 행정거리(Core rod travel) : 130 mm 이상
- 다이 플레이트(Die plate) : 상3단, 하3단 이상
- 위치 정밀도(Positioning accuracy)
· upper ram and die : ±0.01 mm
· core rod : ±0.01 mm
· feeder : ±0.1 mm
- 코어로드 압력 : Max. 250 bar 이상
- 코어로드 수 압력 : Max. 8 ton 이상
- 생산속도 : 12(보증, 8) SPM/Max.
- CNC 제어 축: 12축 이상
뿌리장비 예약
장비 상세정보
장비사진 | 장비명 | CNC 프레스(CNC Press) | ||
---|---|---|---|---|
![]() |
제작사 | (주)정화프레스 | 모델명 | JHMP-250 3/C |
NTIS | NFEC-2019-12-259652 | E-TUBE | 1912-C-0161 | |
장비분류 | 공정장비 | 기술분야 | 소성가공 | |
보유센터 | 대구뿌리기술지원센터 | 장비상태 | 정상 | |
구축일 | 2019-12-23 | 구축비용 | 1,228,517,700원 | |
수수료 | 60000원/시간 | 바우처 사용 | 사용가능 | |
담당자 | 정명식 | 연락처 | ||
매뉴얼 |
|
주요사항
원리 및 특징
1) CNC 유압서보 기능을 가지는 정밀 다단압축 프레스 설비
2) 250 ton의 용량을 가지는 CNC 방식의 유압서보 프레스로 분말압축성형 공정에 최적화되어야 하며, 또한 판재성형, 체적성형 등 소성가공 공정 기술지원 및 연구가 가능한 프레스 설비
3) 250 ton의 프레스 용량을 가져야 하며 상·하 다이에 사용되는 모션이 각각 3단이상으로 구현
4) 본 장비는 유압시스템을 포함하는 본체와 분말공급 및 충진을 담당하는 유틸리티 장치(피더 및 슈), 그리고 이 장치들을 제어가능한 운용 S/W로 구성되며, 중·소형의 정밀 제품 제작에 특화
5) 분말성형공정에 최적화 되어야 하나, 판재성형 및 체적성형 등 소성가공 공정에 공동활용이 가능하도록 유틸리티 장치들의 자유로운 이탈착이 가능
2) 250 ton의 용량을 가지는 CNC 방식의 유압서보 프레스로 분말압축성형 공정에 최적화되어야 하며, 또한 판재성형, 체적성형 등 소성가공 공정 기술지원 및 연구가 가능한 프레스 설비
3) 250 ton의 프레스 용량을 가져야 하며 상·하 다이에 사용되는 모션이 각각 3단이상으로 구현
4) 본 장비는 유압시스템을 포함하는 본체와 분말공급 및 충진을 담당하는 유틸리티 장치(피더 및 슈), 그리고 이 장치들을 제어가능한 운용 S/W로 구성되며, 중·소형의 정밀 제품 제작에 특화
5) 분말성형공정에 최적화 되어야 하나, 판재성형 및 체적성형 등 소성가공 공정에 공동활용이 가능하도록 유틸리티 장치들의 자유로운 이탈착이 가능
사용예
1) 다단 압축이 요구되는 중·소형 정밀 분말제품
2)독립적 상·하 모션이 요구되는 분말제품 및 소성가공 제품의 제조
3)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정밀 제품의 시제품 제조
4)기존 공정으로(일축 모션 프레스) 생산이 불가능한 제품의 개발 및 공정개선
2)독립적 상·하 모션이 요구되는 분말제품 및 소성가공 제품의 제조
3)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정밀 제품의 시제품 제조
4)기존 공정으로(일축 모션 프레스) 생산이 불가능한 제품의 개발 및 공정개선
활용분야
1) 뿌리기업(분말제품 제조기업 및 소성가공제품 제조기업)의 시제품 개발 및 제작 지원
-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중ㆍ소형 정밀 제품의 시제품 제작 과 공정 설계 및 개선으로 활용이 가능하며, 특히 분말성형 가공 시제품 제작의 핵심장비로 활용
- 체적성형, 판재성형 제품의 기술지원에도 활용이 가능
2) 지역 소성가공 뿌리기업의 R&D 기반 확보
- 자동차, 산업기계부품, 항공기 부품 등 고부가가치화 가능한 신기술 및 신공정 개발 지원에 활용
- 지역 뿌리기업의 R&D역량 향상 및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
- 산업의 첨단화 견인을 위한 공동 R&D 발굴 및 수행에 활용
-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중ㆍ소형 정밀 제품의 시제품 제작 과 공정 설계 및 개선으로 활용이 가능하며, 특히 분말성형 가공 시제품 제작의 핵심장비로 활용
- 체적성형, 판재성형 제품의 기술지원에도 활용이 가능
2) 지역 소성가공 뿌리기업의 R&D 기반 확보
- 자동차, 산업기계부품, 항공기 부품 등 고부가가치화 가능한 신기술 및 신공정 개발 지원에 활용
- 지역 뿌리기업의 R&D역량 향상 및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
- 산업의 첨단화 견인을 위한 공동 R&D 발굴 및 수행에 활용